반응형
스프링을 이용하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클래스간의 결합력을 떨어뜨리고,
의존주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설정을 통한 변경이 용이해진다.
즉, 소스코드의 수정없이도 프로그램의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이다.
이러한 개념에서 더 나아가 생각해 볼 수 있는 개념이 바로 MVC 패턴이다.
반응형
'Java & Spring > 디자인 패턴 & 방법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퍼옴] CBD 방법론 (0) | 2013.08.06 |
---|---|
객체언어에 대한 생각 (0) | 2013.08.01 |
자바에서 객체지향적 사고로 객체 만들기 (0) | 2013.07.24 |
Thymeleaf 란? 그리고 예제를 사용하는 방법 (0) | 2013.06.11 |
JNI와 NDK의 이해 (0) | 2013.01.14 |
WRITTEN BY
,